검색 상세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탐색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Parenting of Mothers Rearing 18-to 24-Month-Old Firstborn Infants

초록/요약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enting of mothers of rearing 18-24 month firstborn infa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mothers' parenting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tailed parent suppor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mothers with their firstborn infants aged 18-24 months, and the data were gener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influencing mother's parenting were largely divided into mother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 mother factors included their own growth history, perspective on 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perspective on the infant’s characteristics; the family factors included their marital relationship and family support; and the social factors included the society's perspective on the infant, and on motherhood and child rearing. In addition, each factor organically influenced the mother's parenting, working in a complex way. These findings imply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mothers’ parenting rather than partial policy support for each factor. It also shows the need to create a culture that understands and considers infants, mothers, and parenting in society.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significance of moving from mother-centered parenting to co-parenting with father, family, and society together.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에 대해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이후 세분화된 부모지원을 위한 자료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개인 요인, 가족 요인, 사회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개인 요인은 성장경험, 양육관, 양육스트레스, 자녀의 특성에 대한 관점으로, 가족 요인은 부부관계, 가족의 지지로, 사회 요인은 사회의 영아관, 모성과 양육에 대한 사회의 관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은 어머니의 양육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요인에 대한 부분적이고 분절된 정책 지원 외에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사회에서 영아, 모성, 양육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어갈 필요성과, 어머니 중심의 양육에서 벗어나 부모, 가족, 사회가 함께하는 양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