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의 희망과 비행의 관계: 권태의 매개효과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Hope and Delin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Boredo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의 비행을 줄이고자 희망의 효과에 주목하고, 희망과 비행 간 관계를 권태가 매개하는지, 그리고 삶의 의미의 수준에 따라 희망, 권태, 비행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학교 3곳에서 학생 558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희망은 권태를 부적으로, 권태는 비행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예상과 달리 희망은 비행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때 삶의 의미는 희망과 권태, 권태와 비행, 희망과 비행 간 직접 경로를 조절하였으며, 희망이 권태를 낮추어 비행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를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삶의 의미 수준이 낮은 경우, 희망이 권태의 감소를 예측하고, 권태의 감소는 비행의 감소를 가져왔으나, 희망은 직접적으로는 비행의 증가와 연합되었다. 본 연구는 희망 수준이 높은 것이 언제나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닐 수 있으며, 삶의 의미 수준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hope on delin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ntend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oredo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delinquency. Self-report data was collected from 558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hope predicted boredom negatively and boredom predicted delinquency positively. However, hope predicted delinquency positively, unlike previous studies. It was also found that meaning in lif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ope and boredom, boredom and delinquency, and hope and delinquency. Moreover, it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for hope on delinquency via boredom. Specifically, when the level of meaning in life was low, hope predicted the low level of boredom which subsequently decreased delinquency. However, the direct relation between hope and delinquency was positive under the condition of a low level of meaning in life.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hope is not necessarily the protective factor for delinquency and meaning in lif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intervene youth delinquency more effective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