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과 미국의 교원양성기관 평가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of quality management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charge of the educ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To this end, we inte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system by comparing it with th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of the US CAEP. [Methods] For the study, criteria such as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evaluation, the institution responsible for the evaluation and the target institution, the criteria(indicators) of the diagnosis, the diagnosis method and period(cycle), and the use of the diagnosis results(follow-up measures) was used. For comparison, official documents published by the two organizations were used. [Results] As results, unlike Korea's focus on diagnosi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CAEP in the US focused on accredit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he case of diagnosis cycle, in Korea, the diagnosis cycle was irregular for each cycle, whereas CAEP was conducting certification every 7 yea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utilization of diagnosis results, Korea classifies them into grades A, B, C, D, and E and implements follow-up measures such as reduction of the training quota. CAEP provides seven types of certification, conditional certification, suspension of approval, withdrawal, and rejection.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authenticate or not. [Conclu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verific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more systematically. Secon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present predictable and preparable evaluation standards. Third, follow-up measures should be taken in terms of ‘creation’ and ‘adjustment’ rather than ‘management’ and ‘sanction’.

more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원은 교육의 공공성을 책임지고 있다는 관점에서, 예비 교원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양성기관에 대한 질관리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CAEP의 교원양성기관 평가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리나라와 미국의 CAEP의 비교 분석을 위해 평가의 목적 및 추진 배경, 평가 주관 기관과 대상 기관, 진단의 준거(지표), 진단 방법 및 기간(주기), 진단 결과의 활용(후속조치)이라는 준거를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해 두 기관에서 발간한 공식 문서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에 대한 진단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과 달리, 미국 CAEP의 경우 교원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특징이 존재했다. 진단 주기의 경우 한국은 각 주기별로 진단 주기가 불규칙한 반면, CAEP는 7년 간격으로 인증을 실시하고 있었다. 더불어 진단결과 활용의 경우 한국은 A, B, C, D, E 등급으로 구분하여 양성정원 감축 등의 후속조치를 실시하며, CAEP는 인증, 조건부 인증, 승인유예, 철회, 거부라는 7가지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하였다. [결론]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검증을 더욱 체계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예측가능하고 준비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관리’와 ‘제재’가 아닌 ‘조성’과 ‘조정’의 측면에서 후속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