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친환경 근린설계를 위한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및 내용 연구 - G-SEED 공동주택, LEED-ND, BREEAM-Communities, CASBEE-UD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Tools to Apply on Korean Green Neighborhood Design

초록/요약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친환경 평가지표 중 가장 큰 스케일의 도시공간에 적용 가능한 기준은 G-SEED􀀁 공동주택으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평가항목 및 세부내용을 갖추고 있으나,􀀁 개별 공동주택을 넘어서는 근린단위 설계에서의 적용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근린설계 평가지표인 미국의 LEED-ND(Neighborhood􀀁 Development),􀀁 영국의 BREEAM-Communities,􀀁 일본의 CASEE-UD(Urban􀀁 Development)를 한국의 G-SEED􀀁 공동주택과 면밀하게 비교 분석하여,􀀁 근린(Neighborhood)􀀁 단위의 설계에 필요한지속가능성 세부평가항목 44개를 선별하고 지표체계 간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친환경 근린설계를 위한 국내 기준 마련을 위해서는 현재의 G-SEED􀀁 공동주택보다 적극적인 토지 및 생태환경보존과 지역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세부평가항목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고,􀀁 이미 적용되고 있는 세부평가항목의 경우에도 대상지 내외부 환경 간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내용적 보완이 필요하며,􀀁 지역의 수요와 예측에 기반한 평가의 기준 조정 등 지역적 맥락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친환경 근린설계 평가지표체계가 요구된다.

more

초록/요약

By analyzing various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ssessment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indicators and details that be applied to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city & community levels. Unlike LEED, BREEAM, and CASEE, Korea’s sustainable building assessment system, G-SEED, was not developed to have urban & community-scale indicators. We analyzed G-SEED housing by indicators compared to LEED-ND, BREEAM-Communities, and CASBEE-UD to derive 44 fundamental indicators for neighborhood design. G-SEED for neighborhood design needs to include various indicators to preserve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housing diversity in the overall neighborhood than the current G-SEED housing.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upplement existing indicators with evaluation standards that emphasize the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flexible standards created by experts and citizens according to the local contex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