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아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지원의 양상

The Aspects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놀이와 일상생활 맥락 중에 나타나는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지원의 양상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 지원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 1세와 만 2세 각 9학급씩 총 18학급에서 오전 일과를촬영하고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을 포함한 영아 또래 상호작용사건을 표집하였다. 그리고 영아 또래 상호작용 사건을 맥락 유형(놀이 vs. 일상생활), 시작유형(영아 vs. 교사), 교사 지원 여부 유형(유 vs. 무), 교사 지원 이후 지속 유형(지속 vs. 중단)으로 나누어 사건 유형별 빈도 및 지속시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건 유형에 따른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 지원 행동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아들은 일상생활 맥락보다 놀이 맥락에서 또래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하고 상호작용도 더 길게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 또래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라 영아의 또래를 향한 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 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 맥락보다 일상생활 맥락에서 이루어진 영아 또래 상호작용에서 영아는 긍정적 시도와 반응 행동을 많이 하고 교사는 영아 중심 지원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들의 또래를 향한사회적 행동과 교사의 지원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s of interaction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appearing during play and routine daily life contexts. To examine into the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video recording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play and routine daily life in the 1 and 2-year-old classe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alysis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was based on event sampling which included infants’ social behaviors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s. Each event was divided into a type of context(play vs. routine daily life), start-up (infant vs. teacher), teacher’s support(with vs. without) and continuity after teachers’ support (continuity vs. discontinuity).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infants’ social behavior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 of incident was investigated. It has been shown that the frequency of infant interaction was higher and the duration of the interaction also appeared longer during the play situation than during routine daily life situations.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ants’ social behavior toward peers and teachers’ support according to event type. In particular, infants tended to show more positive attempts and responsive behaviors, and teachers tended to show more child-centered support in the context of routine daily life rather than pla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providing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interactions among infants and teachers’ suppor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