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통합교육 환경의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또래 중재 연구의 국내외 연구 동향 고찰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Peer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또래 중재의 동향을 살펴보고 교사들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또래 중재를 안내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또래 중재 논문 중 선정기준에 따라 총 12편의 국내외 연구를 선정하였다. 이를 발표연도, 참여자, 연구방법, 중재환경, 중재유형, 종속변인과 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또래 중재 연구는 국내외 통틀어 중·고등보다 초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이 주된 중재 환경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국내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가 국외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둘째, 중재유형은 국내외 통틀어 또래 활용에 있어서 교수자로 또래를 활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또래 역할 측면에서는 매개자의 역할이 주를 이루었다. 종속변인에 있어서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는 학업 기술과 사회성을 포함한 친구 관계가 주로 측정되었지만, 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는 친구 관계나 장애에 대한 인식/태도에 한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 측정에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보다는 연구자 제작 질문지나 관찰, 점검표 등 비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활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연구 방향과 실제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ends of peer intervention research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guide peer interventions applicable to a school field and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es. For this study, a total of 12 domestic and foreign articles regarding peer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1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published year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settings, types of interventions(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nd its measurement. First, most of studies were targeted for elementary students rat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ts of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in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s 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Regarding to research method, single subject design was most frequently used for domestic studies and multiple baseline design for foreign studies. Second, in terms of an intervention type, peers were mainly utilized as an instructor and were worked as a mediator in their roles. Major dependent variabl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cademic skills or peer relationships including social skills while that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mainly targeted for peer relationships or disability awareness. Non-standardized tests such as researcher-made questionnaires, observation checklist were used more often than standardized tests for measurement of dependent variables.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