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논어』의 인(仁) 사상과 상호문화교육의 유사점과 시사점

Similarities Between the Ideology of Benevolence (仁)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nd Their Implications

초록/요약

공자의 인(仁) 사상은 춘추시대 중국에서 출현했고 상호문화교육은 1970년대 서유럽 선진국에서 출현했다. 이 둘은 동양과 서양이라는 지리적 차이와 2,500년이라는 시간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면에서 비슷하다. 먼저, 이 둘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강조한다. 인(仁)은 사람 인(人)과 두 이(二)를 합쳐 만든 글자고, 상호문화교육에서 ‘상호’는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이 둘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원만한 관계의 출발점을 자기에서 찾는다. 극기복례에서 ‘극기’는 자기의 이기심을 이기는 것이고, 탈중심은 자기중심주의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이 둘은 사회 질서의 복원을 목표로 한다. 공자는 춘추시대라는 난세에 사회 질서를 수립하기 위해 인(仁)을 내세웠고, 상호문화교육은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정주민과 이주민 간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기 위해 상호문화역량을 강조했다. 본 논문은 『논어』에 나오는 인(仁)을 정의, 목적, 내용,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것들을 상호문화교육의 그것들과 비교해 본 다음, 이러한 유사점이 한국 다문화사회에 던지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Confucius's ideology of benevolence emerged in China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intercultural education emerg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of Western Europe in the 1970s. Despite the geographical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time difference of 2,500 years, these two are similar in many ways. First, they emphasize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Benevolence (仁) is a character, combination of human (人) and two (二), and interaction in intercultural education refers to the interaction among people. Next, they find the starting point of a good relationship among people in themselves. In Geuk-Gi-Bok-Rye, ‘self-denial’ means overcoming one’s selfishness and decentration means ridding oneself of egocentrism. Finally, they aim to restore the social order. Confucius advocated benevolence to establish social order in the difficult time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intercultural education emphasized intercultural competence to create a new order between settlers and migrants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