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직무만족은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oes Job Satisfaction Affect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직무만족’은 고용의 질적 향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많은 조직연구에서 주요 변수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일상생활만족’은 장애인의‘행복’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이 두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는 일과 삶의 연계를 검증하는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4차 조사의데이터를 사용하였다. 1차 자료 모집단은 2016년 5월 15일 거주하는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인 중 만 15~64세의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4차 자료 모집단은 총 3,995명이며 이중 임금근로자의 수는 총 1,446명이다. 연구결과: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는 일상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시사점: 직무만족은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그동안 양적 확장에 중점을 두었던 장애인 고용문제에 있어 질적 요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직무만족,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적 변수의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환경적 요인인 정부 정책, 사회적 지원, 기업 및 기업 경영자들의 변화와 적극적인 참여와 대처를 필요로 한다. 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기본적 요소에서부터, 업무배치 및 멘토링, 정책 개발 및 운영에 이르기까지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증진하고 고용의 질적향상을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이요구된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job satisfaction’ has been used as a major variable in many organization studies. In addition, ‘daily life satisfaction’ is closely related to ‘happiness’ of a disabled people, so a stud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has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verifying the connection between work and life. Method: In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the 4th survey of in the 2nd wave of the 2019 Employment Panel for a disabled people. The 1st data population included people aged 15 to 64 among those with disabilities registered under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residing on May 15, 2016. A total of 3,995 people were included in the 4th data population, of whom 1,446 were wage worker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directly affects daily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Implications: Job satisfaction is a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qualitative factor in the employment problem of a disabled people, which has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needs to be considered once again.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volve and cope with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social support, companies and corporate managers, which are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individual factors. From basic elements such as education programs, to job assignment and mentoring, policy development and operation, organizational efforts are required to promote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