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2020년 1학기에 진행된 실시간 쌍방향 강좌를 수강한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사회적 실재감, 학습 몰입,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 몰입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사회적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 몰입은 자기조절학습과 지각된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학습 몰입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synchronous online learning at universities by examining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outcome of synchronous online learning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self-regulated learning, social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asured by 123 university students who had take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for spring semester in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while social presence did not.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Third, social presenc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but had an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