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음악공감경험 분석: 자기대상(selfobject) 개념을 중심으로

Empathy With Music Form a Selfobject Perspectiv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음악과의 공감경험을 Kohut의 자기대상 개념을 중심으로 탐구한 질적 연구이다. 개인이 경험한 음악과의 공감을 탐색하고, 그 체험적 의미를 반영적 자기대상 욕구, 이상적 자기대상 욕구, 동반적 자기대상 욕구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음악공감에 대한 심층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의도적 표집을 통해 총 13명의 음악치료 석사과정 이상의 대학원생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음악과의 공감경험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한 후, 인터뷰 내용을 녹음, 전사하여 내용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개 차원(반영적 자기대상 욕구 충족 차원, 이상적 자기대상 욕구 충족 차원, 동반적 자기대상 욕구 충족 차원)에서 총 16개 의미내용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첫째, 음악으로부터 무조건적인 이해와 수용, 음악을 통한 가치감 증진을 경험하고 있었고, 둘째, 음악 안에서 강해짐과 안전감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셋째, 음악과의 동질감 및 연결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참여자들이 음악경험을 통해 자기 자신을 확장시키고 스스로에게 공감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자기대상 욕구를 지속적으로 충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음악공감경험을 자기대상 관점에서 질적으로 확인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Using Kohut’s selfobject perspective as a foundation,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the empathy with music and analyzed the empirical meanings in relation to ‘Mirroring selfobject need’, ‘Idealized selfobject need’, and ‘Twinship selfobject need’. The participants included 13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ho took part in individual interviews about their musical experience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via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seven categories with 16 meaningful concepts emerged under three dimensions: Gratification of selfobject need for mirroring, gratification of selfobject need for idealization, and gratification of selfobject need for twinship. Participants described experiencing uncondition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from music, feeling stronger and safer in music, and being identified with and connected to music.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nts continuously gratify their selfobject needs by expanding the self and empathizing themselves through music. This study in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to analyze participants’ musical experiences from Kohut’s selfobject perspectiv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