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점의 반복적 표현을 통한 수행성 연구-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haeng-Seong Through the Repeated Expression of Dot -Focusing on the author’s artworks-

초록/요약

본 논문은 본인이 예술작품을 표현하기 위해 점(點)을 반복해 그리면서 나타나는 수행성(修行性)과 조형적 기법을 연구한 내용이다. 자연 속 씨앗에서 무한한 생명력을 느끼게 되어 점을 작업의 소재로 선택하게 되었다. 씨앗이 싹을 틔우고 꽃이 피고 지는 자연의 순환현상에서 반복이 자연의 섭리로 내재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작업과정에서 반복적인 점의 조형적 표현에 몰입할수록 무념무상(無念無想)과 무아지경(無我之境)에 빠져드는 체험을 하게 되었다. 무아체험의 이론적 근거로 불교의 무아(無我), 노자의 무위(無爲)의 철학사상에서 나타나는 의미, 중국의 화가 예찬의 회화론에서 나오는 ‘료이자오(聊以自娛)’의 의미를 알아보고 회화가 가지고 있는 수행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인의 작품에서 점의 조형적 표현기법으로 미점준(米點皴)과 우점준(雨點皴) 기법을 병용하였고, 먹물과 아교물을 희석하여 점을 찍을 때, 한지에 스며드는 수묵의 흔적과 번짐, 농담표현을 통하여 다양한 조형적 표현들을 분석하였다. 순서의 방향성에서는 '밭전(田) 놀이'를 통해 한지를 여러 개의 칸으로 나누는 방법과 나누지 않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또한 지시적 방향성과 무작위적 방향성을 구분해 설명하였다. 지시적 방향성에서는 각 칸에 순서를 정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방향을 정하여 표현하였다. 무작위적 방향성에서는 각 칸에 무작위로 순서를 정해 자유롭고 즉흥적으로 점을 그렸다. 작품 표현 및 분석에서는 본인의 여러 작품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점을 찍어나가면서 그려지는 과정과 표현 방법을 사례별로 분석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is the content of my research on the Suhaeng-Seong(修行性, experiencing absence of ego) and formative technique that appears while drawing dots repeatedly to express works of art. I felt the infinite vitality of seeds in nature, so I chose dots as the subject of my work. In nature's cycle of seed‘s sprouting, flowering, and dying, I came to know that repetition is inherent in nature's providence. The more I immersed myself i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repetitive dots in the process of my work, the more I experienced immersion in Munyeom Musang(無念無想, no-thought and no-mind) and Mua-Jigyeong(無我之境, spiritual state of perfect selflessness).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Suhaeng-Seong, the meaning appearing i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Mu-A(無我, selflessness) in Buddhism, Mu-Wi(無爲, Acts naturally without desire) of Lao-tzu(老子)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meaning of 'Ryoizao(聊以自娛)' in the painting theory of the Chinese painter Ye-chan was investigated and the function of meditation practice in painting was examined. As a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for dots, I used the techniques of Mijumjun(米點皴) and Woojeomjun(雨點皴) in combination. When making dots by diluting japanese ink and glue,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were analyzed through traces, spread, light and shades of ink that permeate korean paper. When the japanese ink and glue water were diluted and scored, the traces of ink on korean paper and bleeding, and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were analyzed through expressions. In the direction of the sequence, I tried a method of dividing the korean paper into several squares through 'Batjun(田) play' and not dividing the paper. I also explained instructional direction and random direction separately. The work process and expression method of drawing while repeatedly making dots through my various works were analyzed on a case-by-case basi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