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사들이 지각한 민주적·협력적 학교문화 특성 요인과 수업혁신 간의 관계 분석: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nd teachers’ instructional reform: 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초록/요약

연구목적: 이 연구는 수업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민주적·협력적 학교문화 특성 요인을 분석하고 학교문화 특성 요인과 수업혁신 간의 관계에서 학교 문화 요인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서울형혁신학교 초·중등교원 4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를 사용하여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중 회귀분석 결과, 리더십공유, 협력학습과 실천공유는 수업혁신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협력학습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비전공유는 수업혁신에 직접적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협력학습 및 실천공유를 매개하여 수업 혁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민주적 의사결정과 수업혁신 간의 관계에서 리더십공유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교문화 특성 요인들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수업혁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학교 혁신 과정에서 학교문화 요인들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과 유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학교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민주적·협력적 학교 문화 구축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nd teachers’ instructional reform and (b) examine mediators and moderators among school culture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instructional reform.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467 teachers working at Hyukshin School in Seoul. This study applied a multiple regression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shared leadership, collective learning, and shared practice positively and directly influenced instructional reform.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impact of shared vision on instructional reform is mediated by collective learning and shared practice. Third, shared leadership acted as a moderator between democratic decision making and instructional reform.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es and interrelationship within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factors, suggesting how to support successful instructional changes and sustainable school refor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