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그래서 우리는 ‘직접 소통’하고 있는가?: 청와대 국민청원 수사비평

Exploring the Meaning of ‘Direct Communication’: Rhetorical Analysis on the Blue House Petition and Respons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청와대 국민청원의 취지로 알려진 ‘정부와 국민 간의 직접소통’이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국민들이 청원 내용에서 요구하는 정부의 역할과 청 와대가 답변을 통해 제시하는 스스로의 역할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라는 연구문제 를 설정한 뒤 495개의 청원글과 답변글을 대상으로 수사비평을 실시했다. 수사비평 중 에서도 역할비평의 분석 틀을 적용해 국민이 요구하는 정부의 역할과 정부가 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하는 스스로의 역할을 비교해, 정부가 추구하는 ‘직접 소통’의 의미가 실 제로 어떻게 실행되어 왔는지를 보다 분석적인 접근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역할비평의 분석 틀의 네가지 동사형태는 정서적/도덕적 행동(enotional/moral action), 서사적 행동(narrative action), 행위적 행동(behavioral action), 수행적 행동 (performative action)으로 나뉜다. 분석 결과, 청원글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구체적 인 정책적 행동이나 참여에 대해 요구’하는 ‘행위적 행동’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답변글에서는 ‘있는 사실을 그대로 설명’하는 ‘서사적 행동’과 ‘의지나 다짐’을 드러내는 ‘수행적 행동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따라서 청원글을 게시하는 주체와 그 내용에 대해 답을 하는 주체 사이의 역할 불일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를 기반으로 지난 4년간 진행되어온 청원 내용과 답변의 전반적인 양상의 흐름, 주제나 청원 항목별로 가지는 특징, 답변하는 주체의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direct communication’ pursued in the national petition operated by the Blue House of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an analytical approach.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rhetorical criticism, the role criticism was conducted on the total number of 495 texts of the petitions and responses. The analytical framework of role criticism is divided into four verb forms: emotional/moral action, narrative action, behavioral action, and performative action.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petition, ‘behavioral’ action, which requires specific policy change or participation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and in the responses, the ‘narrative’ and ‘performative’ action, which requires the general explanation and commitment took a high proportion.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ole mismatch between the subject posting the petition and the subject responding to the petition. Further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overall flow and pattern of the petition contents during the last four yea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