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역연구의 재구성과 시스템이론

Reconstruction of Areas Studies and the Systems Theory

초록/요약

오늘날 사회과학의 주류로 자리 잡은 실증주의 연구의 법칙정립적 일반화의 압박에 직면하여 전통적인 개체기술적 접근방법을 주로 사용해온 지역연구자들은이론적, 방법론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교지역연구는 이러한 양극단의 장점을 반영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간주된다. 이 논문은 비교지역연구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시스템이론과 같이 공통의 프레임워크가 어떤 방식으로 지역연구에기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냉전 이후의 시대적 변화와 사회과학 실증주의로부터 제기되는 비판을 고려하고, 이어 대안으로서 등장한 비교지역연구의흐름을 소개한다. 또한 이러한 작업에 필요한 이론적 논의로서 일반시스템이론의주요 내용과 개념 도구들을 검토하고, 이들이 어떻게 지역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지 집중 검토한다. 열린 시스템, 환경, 동형성, 등종국성, 자기조직화 등 시스템이론의 주요 개념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회시스템이론의 분석 도구들을 소개한다. 특히 구조적 동조, 이차적 관찰, 이중의 우연성 등아직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시스템이론의 개념들이 지역연구에서 어떤 의미를가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지역연구 관련 논의에서 시스템이론이 응용된 두 가지 사례를 소개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investigates area study's difficulties between their traditional idiographic approach and the nomothetic approach of positivism. Comparative area studies seem to combine advantages of these two contrasting approaches. This paper explores how the systems theory may help area studies by providing a common framework among scholars. For this, the paper reviews the positivist critiques since the Cold War and the movement of comparative area studies thereafter. Two systems theories are introduced for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 common framework among area specialists. One is the general systems theory which has provided useful conceptual tools such as open system, environment, idomorphism, equifinality, and self-organization. The other is the social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who devised a lot of new analytical concepts such as structural coupling, second observation, and double contingency. Two existing area studies are also reviewed in this paper as good starting points toward the systemic tur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