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거울의 거울* -현대 드라마의 자기반영성과 미메시스의 확장-

The Mirror of the Mirror -Self-reflexivity of Modern Drama and Expansion of Mimesis-

초록/요약

What epic theatre and theatre of the absurd which revolutionized modern drama have in common is a double mirror that reflects the subject’s act of mirroring along with the object mirrored. This paper examine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self-reflexivity" characteristic of modern drama, tracing the theoretical genealogy of mimesis, and reads the metatheatrical reflexivity as a mode of modern mimesis. Starting from the theory of mimesis founded by Plato and Aristotle, this study analyzes the discussions on drama’s mimetic mirror in neoclassicism, realism, theatricalism, and poststructuralism, and shows how self-reflexivity is a dialectical outcome from the interactions of sociocultural context and aesthetic creation. The self-reflexivity in drama is an aesthetic form “precipitated” from the modern consciousness about the theatrical nature of social relationships and human identity. The mirror of modern drama shifts its primary concern from the verisimilitude of the outer world to the inner world of individual human being, then eventually to the way the drama itself exists, highlighting the autonomy of its own. The double mirror on the stage disturbs the symbolic action of the subject's conscious mirroring, and the text with weakened narrative function gradually changes into a free play of signifiers, turning the drama into a representation of the theater, not the world.

more

초록/요약

현대 드라마의 혁명적 변화를 견인한 서사극과 부조리극의 공통점은 대상과 함 께 그 대상을 바라보는 주체를 비추는 이중의 거울이 작동한다는 것이다. 본고는 현대 드라마를 관통하는 ‘자기반영성’의 의미를 연극의 가장 고전적 개념인 ‘미메 시스’ 이론의 계보 속에서 고찰하고 ‘자연을 비추는 거울’을 넘어 그 ‘거울의 거울’ 로 확장된 드라마의 메타적 자기반영성을 현대적 미메시스의 형태로 읽어낸다. 이 를 위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초한 미메시스 이론에서 출발하여 신고전 주의, 사실주의, 극장주의, 탈구조주의로 이어지는 미메시스 관련 논의를 추적하고 현대 드라마의 자기반영성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미학적 창조의 상호작용이 빚어 낸 역사미학적 결과물로 접근한다. 현대 드라마의 거울은 절대 드라마의 핍진성에 서 개별 인간의 내면으로, 다시 드라마 스스로의 존재 방식으로 그 대상을 옮겨가며 결국 극장이라는 독자적 공간의 자율성과 가능성에 천착한다. 무대 위 이중의 거울은 주체의 의식적인 미러링의 기호 작용을 교란하고, 서사적 미메시스 기능이 약화된 텍스트는 점차 기표들의 자유로운 놀이로 변화되면서 드라마는 세상이 아 닌 극장에 대한 재현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현대 드라마의 자기반영성은 사회적 관 계와 인간 정체성의 연극적 본질에 대한 현대적 의식이 하나의 미학적 형식으로 ‘응결’된 것으로 미학적 관습 뿐 아니라 서구 철학의 근원적 토대에 대한 도전을 제기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