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폭력과 사이버폭력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초록/요약

2019년 말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으로, 2020학년도 1학기부터 초·중·고등학교의 등교수업 비중이 축소되고,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비중이 현저히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정보통신 기기의 활용이 일상화되고, 사이버 공간이 교수—학습 활동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주요한 장소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의 빈도도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국회에는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학교폭력’의 정의 조항에 ‘사이버폭력’ 또는 ‘사이버 학교폭력’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는 개정안이 제출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학교폭력의 정의 조항의 개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기존의 사이버폭력의 정의 및 유형에 관한 논의를 검토한 후, 최근 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학교폭력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법률적 또는 학문적으로 그 개념조차 모호한 ‘사이버폭력’이라는 용어를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신설할 것이 아니라, 사이버 공간을 학교폭력이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장소 개념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즉, 사이버폭력이 학교폭력의 한 가지 유형이 아니라,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유형의 학교폭력이 학교 내외의 물리적인 공간뿐만 아니라 사이버 공간으로까지 확장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현실과 사이버 공간 사이의 경계에 대한 인식이 불분명한 학생들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학교폭력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반영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 개념 및 유형의 구분이 여전히 혼란스러운 ‘사이버폭력’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Due to the impact of the novel coronavirus outbreak that occurred from the end of 2019,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classes through school attendance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decreased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while that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ly, as student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has become routine, and cyberspace has begun to be recognized as a major locus of teaching—learning and communication, the frequency of school violence occurring online ha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an amendment to the Korean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to newly establish a definition of ‘cyber violence’ or ‘cyber school violence’ under the definition of ‘school violence’ has been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article raises questions about the amendment to the definition of school violence, reviews the existing definitions and types of cyber violence, and analyzes the patterns of school violence occurring recently in cyberspace. In addition, this article proposes that rather than newly establishing the term ‘cyber violence’ of which even the concept is legally or academically vague in the Act, cyberspace should be understood within a concept of a place where school violence can occur. In other word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cyber violence is not a type of school violence, but almost all types of school violence that can occur against students have spread to cyberspace as well as physical space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This approach not only reflects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school violence in cyberspace that occurs among students whose perception of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cyberspace is unclear, but is also expecte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cyber violence,’ a thing for which the concepts and types are still confus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