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Reading the Qumranic Canonicity from the Confucian Context

초록/요약

성서 학자들은 정경(canon)과 경전(scriptures)을 엄밀히 구분하고자 한다. 이 구분에 따르면 쿰란 문서는 유대교의 경전화 과정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가 된다. 일반적으로 유대교는 쿰란 시대까지 고정된 경전이 없었다고 본다. 그러나 본 논문은 쿰란공동체가 정경 개념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쿰란공동체가 이미 정경의 범위와 정경성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었음을 보여주기 위해, 본 논문은 쿰란 문서의 세 가지 특징, 즉 의의 교사, 페샤림, 다시 쓴 성경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쿰란공동체가 정경의 배타성과 포괄성에 있어 엄격한 기준을 갖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동시에 쿰란공동체는 페샤림과 다시 쓴 성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수받은 문서의 확장과 추가에도 열린 입장을 지니고 있었다. 쿰란 문서의 정경성 논쟁에서 볼 수 있는 독창성은 쿰란공동체와 하스몬 왕조, 그리고 외부인에 대한 정치적, 종교적 갈등에 기인하였다. 본 논문은 쿰란의 정경성 개념을 검토하기 위해서, 유교의 정경화 과정을 검토하고, 유교에서도 정치적인 요소가 필수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유교의 정경화 과정을 검토해봄으로써, 유대교의 정경화 과정 역시 정치적인 측면이 중요한 부분임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Biblical scholars have mad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canon and scriptures. According to this distinction, the Qumran community is to be good evidence to show a process of canonization of Judaism. It is said that Judaism had no fixed set of scriptures up until the Qumran scrolls. In this paper, however, I raised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Qumran community had a different concept of canon from our general scholarly sense. To show that the Qumran community already had the notion of canon and canonicity, I presented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Qumran scrolls: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the Pesharim, and the Rewritten Bible. These features reveal that the Qumran community had a strict sense of canon in terms of scriptural exclusivity and inclusivity. Yet, at the same time, they were open to expansion and addition, as shown in the Pesharim and the Rewritten Bible. The uniqueness of the Qumran document can be attributed to political and religious conflicts with the Hasmonean dynasty and the outsiders. The Confucian process of canonization also shows that political elements are essential factors. By examining the Confucian cas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litical aspect was an important one in the canonization process of Juda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