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과 일반 시민은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가?

The Effects of Seoul Social Economy 2.0: Focusing on Social Economy Perceptions and Empowerment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고관여 시민’과 ‘일반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사회적경제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추진계획’을 통해 ‘시민중심의 사회적경제’, ‘지역기반’, ‘일상체감’을 핵심가치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를 위하여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 300명과 일반 시민 1,0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이 일반 시민에 비해 높았다. 둘째, 사업에 참여한 시민이 일반 시민에 비해 임파워먼트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민중심의 사회적경제’를 표방한 서울시의 사회적경제 정책은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민중심, 지역기반, 일상체험의 기조를 바탕으로 시민의 참여와 인식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입증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of ordinary citizens and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and suggest the future social economy policy directions. Through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romoting policies with the core values of 'citizen-centered social economy,' 'local base,' and 'everyday experience.'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47 questions was conducted on 300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and 1,002 ordinary citizens. The data was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ꠓsis and differ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f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itize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had higher empowerment than the general citizens.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Seoul had improved the citizens' social economy percepꠓtion and empower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an prove the continuing need for policies that can exp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