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경증치매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f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for Alleviating of Depression in an Older Adult With Mild Dementia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이 우울 완화를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2020년 10월, 경증치매를 진단받은 만 82세 여성으로 2021년 5월 4일부터 2021년 6월 8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1회기의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회상요법을 바탕으로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모델을 참고하여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미술 작품, 매 회기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 임상일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Creswell의 질적 연구 자료 분석 방법 5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은 총 4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상위 주제는 <자신의 삶에 담긴 깊은 슬픔과 고통을 인식함>, <삶의 긍정적 회고를 통해 마음을 정화함>, <자신의 삶을 수용하며 긍정적으로 재평가함>,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가치를 부여함>이다. 본 연구는 경증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이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여 우울감을 완화하고,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삶에 대한 의미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n older adult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during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for the alleviation of depression and what the experience meant for the participant. The study participant was an 82-year-old woman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in October 2020 who participated in 11 art therapy sessions, 60 minutes each, twice a week from May 4, 2021, to June 8, 2021.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stage model and reminiscence therapy practices. The participant’s art works, transcripts of each session, and clinical journals were collected as data and analyzed using Creswell’s five-step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articipant’s art therapy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themes and 14 subthemes. The broad themes were “recognizing the deep sorrow and pain in life,” “cleansing the mind through a positive reflection on life,” “accepting life and reevaluating it positively,” and “assigning value to the futur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helped the participant positively evaluate the meaning of her life by enabling her to recognize her value, alleviating her depression, and encouraging her to accept her life.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then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