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평등 교육 실천 경험을 통해 형성된 중등 사회과 ‘여’교사들의 입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ality of Secondary Social Studies ‘Female’ Teachers on Their Practice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평등 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천 경험이 있는 중등 사회과 여교사들의 입장성을 탐구하였다. 입장성 이론을 통해 성평등 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의 교차적·맥락적·다중적 정체성 형성과 인식, 그리고 교육 실천 과정에서 구성된 입장성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활용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성찰적 정체성·입장성 형성의 4가지 차원은 다음과 같다: 1) ‘여교사’에 대한 편견의 발견과 자기회의(self-doubt), 2)‘페미(니스트)’라는 낙인과 자기검열(self-censorship), 3 ‘페미니스트 교사’ 정체성의 선택적 개방과 자기타협(self-compromise), 4)‘전문가’ 교사로서의 성장과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실증적 근거에 대한 심층 탐구를 거친 본 연구의 결과는 소모적 대립과 갈등에서 벗어나 성평등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과의 역할과 책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focuses on femal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who are committed to and actively promote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explores their self-identity, reflections, and practices. On the basis of positionality theory, this study explores the fluid, dynamic, and intersectional nature of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fluenced by multi-layered social contexts. Utiliz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cess and context of how the teachers’ individu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were shap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1) prejudice against and self-doubt as a 'female teacher', 2) 'femi(nist)' stigma and self-censorship, 3) selective acceptance of identity and self-compromise as a 'femi(nist) teacher', 4) growth and self-efficacy as a 'professional'. Through an in-depth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meaningful data for follow-up discussions on gender equality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