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체장애여성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예측요인

Classification of longitudinal changes of and predictors for life satisfaction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에 있어 서로 다른 유형이 존재하는지 파악하고, 변화유형별로 생활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신체장애여성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1차)~2019(4차)에 걸쳐 조사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분석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신체장애여성을 중심으로 2단계로 구분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에서는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궤적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2단계에서는 변화유형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들을 규명하고자 다항로지스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여성의 생활만족도 변화유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저수준 유지형’, ‘고수준 유지형’, ‘상승형’으로 총 3개의 유형이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별 특성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장애여성의 생활만족 변화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건강요인, 심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에서 유형별 특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체장애여성의 생활만족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for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by examining classification of longitudinal changes of and predictors for life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uthors used the second wave of ‘Panel study on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y’ from 2016(the first) to 2019(the fourth) and analyzed the data in two separate methods. First, authors employed the growth mixture modeling to find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changes an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change patterns. Second, once authors found different classifications of longitudinal life satisfaction changes, then author also use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xamine predictors for each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were able to find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longitudinal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across time period: a category with maintaining low level functioning, a category with maintaining high level functioning, and a category with increased functioning. Second, authors were able to find different predictors for each category of life satisfaction changes in terms of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social,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made sugges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for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