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잡 크래프팅, 내부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Orientation, Job Crafting, and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초록/요약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이후 대기업 여성 근로자의 경력개발 및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 차원의 접근 제고를 위하여 대기업에 근무하는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잡 크래프팅, 내부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한 대기업에 근무하며, 경력 3년 이상인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26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은 내부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외부 고용가능성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은 잡 크래프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내부 고용가능성과 외부 고용가능성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내부 고용가능성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의 지속가능한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을 강화시키고, 일터에서 잡 크래프팅을 활발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들의 조직 내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을 높이는 동시에 잡 크래프팅을 촉진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이 외에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orientation, job crafting, and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n pursuance of the study purpose, data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who had at least three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t large companies in the list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inally, 267 cases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employability, bu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xternal employability;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dditionally, job craft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respectively. Finally, job craft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nsights and the empirical research evidence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promote job crafting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increase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for the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lso presen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