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퇴직을 앞둔 중,장년 대기업 근로자의 경력전환 교육요구 분석

An Analysis of Educational Demand for Career Change of Middle-aged and Large Comapny Workers Who are about to Retire

초록/요약

이 연구는 중장년 노동자의 경력전환 교육에 대한 인식과 내용 요구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자 1,000명 이상 기업 중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S그룹 內 금융사 임직원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IPA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근로자 대부분은 퇴직 후 경력전환에 도움이 될 수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매우 소수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력전환 교육의 다양한 영역과 요인에 대해서 성별에따라 각각 다른 성격의 요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각 기업과 관련 학계가 근로자의 입장과 요구를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실효적, 실용적, 실천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지역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관련 변인의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논의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특히, 후속연구를 통해 심층적 수준의 질적연구 및 혼합연구설계와 다양한 전공자가 참여하는 학제 간 연구를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mand of perception and contents for career change education on middle-aged workers. In order that,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164 executives and employees of financial company in S group company headquartered in Seoul among the companies with more than 1,000 employment workers, and analyzed the methods such as technical statistics, t-verification, Borich needs assessment and IPA analysis, etc.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workers are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help career change after retirement, however, very few workers have participated in related programs actually through this stud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emands of different personalities according to gender for various areas and factors of career change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d that each company and relevant academia needs to identify workers’ positions and needs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s, and develop and distribute effective, pragmatic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m.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e need to conduct surveys on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and local workers, and suggested the need to discuss causal relationship of related variables in detail. In particular, in-depth qualitative study and joint study design and interdisciplinary study involving various majors through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