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찰일지에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 성찰 양상

Reflection patterns of elementary students’ digital media literacy practices in their reflection journal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 학습자들이 성찰일지를 통해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성찰일지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크게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성찰일지는 이 두 측면 모두에 대해 지속적·자기주도적으로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해줌으로써 궁극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떻게 변화해가는가? 이 연구에는 총 20명의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연구자들이 개발하여 제공한 성찰일지 공책에 주 2회씩 23주에 걸쳐 전날 자신이 수행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였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분석을 활용하여 이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할 때 경험한 정서와 성찰 양상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주로 여가, 친교, 학습을 목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남학생들에게서는 여가 목적의 게임 활동이, 여학생들에게서는 친교 목적의 SNS 활동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였으며, 경험한 정서의 유형에 따라 다른 성찰 양상을 보였다. 성찰의 양상은 크게 행동에 대한 성찰과 학습에 대한 성찰로 구분되었으며, 행동에 대한 성찰은 다시 자기조절에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로 분류되고, 학습에 대한 성찰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습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더 많은 양의 성찰을 하였으며, 보다 심화된 성찰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찰일지를 포함하여 학교교육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해야 할 필요성, 슬기로운 디지털 미디어 지도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at the reflection journal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literacy by analyzing the patterns in which elementary students reflect on their digital media literacy practices through the reflection journal. Digital media literac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and the reflection journal is expect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literacy by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continuous and self-directed reflection on both aspects.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spects of elementary students’ use of digital media? Second, what is the reflection pattern of elementary students’ digital media literacy practices? Third, how are elementary students' reflections on digital media literacy practices changing? A total of 20 6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reflected on the digital media literacy practices they performed the previous day for 23 weeks, twice a week, in a notebook developed and provided by the researchers. The use of digital media was analyzed through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reflection patterns experienced by students during the practices was examined through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mainly use digital media for leisure, friendship, and learning purposes, and that game activities for leisure appeared frequently in male students and SNS activities for friendship in femal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emotions through digital media literacy practices, and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refle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emotions experienced. The pattern of reflection was largely divided into reflection on behavior and reflection on learning. Reflections on behavior were divided into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ases of self-regulation, and reflections on learning were divided into learning the cognitive domain and learning the affective domain of digital media literacy. Lastly, learners showed a greater amount of reflection in the second half than in the first half, and showed more in-depth refl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last part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implement more systematic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ncluding reflection journals,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for wise digital media guidance, and the need to develop various digital media literacy-rel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