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Exploring Individual, School, and Family Variables in School Satisf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발달장애(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검증하고, 그 변인들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하여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2019)의 「장애인삶 패널조사」 중 ‘2차수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그것은 ‘제1회 장애인삶 패널조사 학술대회’ 논문 발표자를 위해 2021년 7월에 ‘처음’ 공개된 자료이었다. 조사엔 등록장애인 5,527명이 전국에서 참여하였고, 그중 발달장애인 518명 중에서 초등학생 163명 자료가 분석되었다. 배경변인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인변인 5가지, 학교변인 4가지, 가족변인 4가지로 총 13가지를 판별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개인변인에서는 ‘전반적 건강상태가 좋은’ 학생들; 학교변인에서는 ‘교사의 이해 부족 및 편견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 ‘친구들에게 장애에 대한 배려를 받고 있는’ 학생들,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가족변인에서는 ‘부모가 차별받고 있지 않은’ 학생들, ‘부모의 장애수용 정도가 상위 50%인 집단’의 학생들, ‘부모와 학교생활 관련 대화를 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았다. 학교변인 중에는 친구들의 장애에 대한 배려 정도와 학교폭력 피해 여부가, 가족변인 중에는 부모가 경험한 차별 정도, 부모의 장애수용, 부모-자녀 간 학교생활 관련 대화 정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의 영향력 크기 비교 결과, 부모-자녀 간 학교생활 관련 대화 정도 변인이 가장 높았다.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개인변인보다는 학교변인과 가족변인이 더 높은 것으로, 부모가 경험하는 사회에서의 차별 정도도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 학교, 교사, 부모 및 한국 사회가 어떠한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는지를 시사하였고, 발달장애학생의 주관적 평가가 요청되는 맥락에서 본인응답 기회 증진의 필요성을 지적하였으며,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차후 조사에 요청되는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school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ir effects. This study analyzed the parent report of 163 elementary students with DD using “2019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Survey” of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KODDI). The background variables consisted of individual, school, and family variabl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those who reported “they were in good health” showed higher school satisfaction. Regarding the school variables, those who have not suffered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the teachers”, who “had friends considerate of their disability”, and who have not experienced “school violence” showed higher school satisfaction than the opposite. Concerning family variables, those who reported that “their parents have not suffered any discrimination”, those in the “top 50% of parents' disability acceptance group”, and those who reported “they often have conversations about school life with their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than those who did not. It was found that “friends' consideration for dis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school violence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and “parent’s disability acceptance” and “parent-child conversation on school life” had a positive effect. Comparing the magnitude of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at of “parent-child conversation on school life” was the highe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evaluating school satisfaction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of students with DD, and that it calls attention to student-centered perspectives for teachers, parents, and researchers. The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in the data set collected by the 2019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Survey, suggesting improvements for future panel surveys and follow-up stud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