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녀의 건강충격이 부모의 노동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ldren’s Health Shock on Parents’ Labor Supply and Income

초록/요약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hildren’s unexpected health shocks on parents’ labor supply and income. Hospitalization of more than 3 days in a general hospital was defined as a health shock, and the effects on parents’ labor outcomes were estimated by panel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metho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ed data. When a child experienced a health shock, the mother’s labor supply and incom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is effect was greater for mothers with non-regular jobs, accompanied with decreased working months(intensity of labor) and company sizes(quality of workplaces). The fact that the effects of children’s health shocks were greater for women was not because the opportunity cost of labor-force exit was smaller (due to the average of women's jobs or income were low), but it seems that the effects have appeared due to the difference in division of labor by gender. As a result of the robustness check, the greater the intensity or exogeneity of the health shocks, the higher the negative effects on the parents’ labor supply and income were, and the effect was still larger in women than in me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many other previous studies which showed the negative effect was greater for women than men for child care labor in general.

more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예상치 못한 건강충격이 부모의 노동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종합병원 이상에서의 입원을 자녀의 건강충격으로 정의하고 성향점수 매칭 후 패널 이중차이분석을 이용하여 부모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자녀가 건강충격을 경험한 경우 모(母)의 노동참여 및 소득이 유의하게 줄고 특히 비정규직 모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근로 개월 수 및 사업체 규모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등 노동 강도 및 일자리 질의 하락이 수반됨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자녀의 건강충격 효과가 여성에게 크게 나타난 것이 온전히 여성의 일자리나 소득이 평균적으로 낮아 노동 탈락 시 상대적으로 기회비용이 작기 때문에 발생한 효과로는 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건강충격의 강도 및 외생성을 고려한 강건성 분석 결과, 건강충격 강도 및 외생성이 클수록 부모의 노동과 소득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도 증가하며, 그 효과는 여전히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