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AAC 활용에 관한 국내외 문헌분석

Review of AAC research on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관련 국내외 연구의 통합교육 및 교과교육 적용을 분석하여, 통합교육 내에서 활용되는 AAC의 전반적인 동향, 기기 활용, 교수 목표에 따른 중재 방법 등 최선의 적용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6편, 국외 18편의 논문을 분석하고, 연구자 간 불일치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AAC 활용 논문은 꾸준히 이뤄지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자폐성장애,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하이테크와 앱을 사용하여 도구적 상징을 포함한 고정 디스플레이로 중재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AAC는 증거기반의 실제와 같이 제공되었을 때 의사소통뿐 아니라 음소지식, 철자지식, 일견단어 습득, 글 이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외 연구에서 개별화 교육계획과 교육과정에 AAC를 적용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논의하였다; 1) 국내 AAC 연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및 교육과정과 연계 필요성, 2) 통합학급 수업 및 교과 학습 활동에 적용 노력의 필요성, 3) 중도장애 학생뿐 아니라 다양한 학교급의 장애학생 대상 AAC 연구의 필요성, 4) 통합환경에 적합한 AAC 활용 증거기반의 실제 확립 필요성, 5) 통합환경 내 다양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인식 변화와 역량 강화 필요성.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AC application strategies for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reviewing AAC research conducted in the context of inclusive and subject-matter education for the last 10 years. Through the systematic selection procedure, 6 Korean and 18 international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liability was secured by repeatedly checking whether there was any discrepancy between researcher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the AAC research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nd the resear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econd, high-tech and apps with fixed displays were used in many AAC studies. Third, the AAC intervention with evidence-based practices were able to facilitate and enhance phoneme knowledge, spelling knowledge, acquisition of sight words, and text comprehension as well as communication. Last, only international studies dealt with AAC linked to IEP and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as follows: 1) link AAC to the IEP/curriculum in Korea, 2) application of AAC in the inclusive classe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more subjects, 3) use of AAC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various school levels and for students with moderate disabilities, 4) building evidence-based practices of using AAC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and 5) empowering various communication partners, specifically raising awareness of partners and enhancing their capabilit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