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남자 중학생의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관계: 정서적 학교 관여와 훈육 구조의 조절된-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Bullying Perpetration among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Affective School Engagement and Disciplinary Structu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 집단의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정적 관계를 완화하는 개인적, 환경적 보호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정서적 학교 관여와 훈육 구조의 조절된-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학년 남학생 1,174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덕적 이탈, 정서적 학교 관여, 훈육 구조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도덕적 이탈과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의 정적 관계는 정서적 학교 관여가 높을수록 약했는데, 정서적 학교 관여의 보호효과는 학교의 훈육 구조가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상위 13.29%의 남학생들에서만 나타났다. 즉, 학교의 훈육이 일관되고 공정하다고 지각하는 남학생의 경우, 학교와의 정서적 유대가 강할수록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에 대한 도덕적 이탈의 영향은 약해졌다. 본 연구 결과는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가해 행동에 있어 도덕적 이탈과 같은 개인의 인지적인 특성뿐 아니라 학교와의 정서적 유대감, 그리고 공정한 학교 규칙 적용 등 학교의 환경적 특성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affective school engagement and disciplinary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bullying perpetration among male adolescents. Self-reported data on 1,174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3. Results showed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moral disengagement, affective school engagement, and disciplinary structure. Specifically,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bullying perpetration was weakened for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affective school engagement and a high level of school disciplinary structure. Specifically, the buffering effect of affective school engagement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top 13.29% of students who perceived the school discipline to be fair. This finding suggests that co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work together to explain bullying perpetration for male adolesc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