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 지배적 남성성 규범과 능력주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Gender Egalitarianism Among Korean Men in Their Twenties: Impact of Dominant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초록/요약

20대 남성이 또래 여성 집단과의 갈등 속에서 다른 세대의 남성들과 구별되는 행보를 걷고 있다는 것은 일명 ‘20대 남자 현상’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는 비단 한국 사회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며, 미국, 유럽 등에서 청년 세대의 신보수주의(neo-conervatism)나 반페미니즘(anti-feminism)이 강화되는 현상에서도 목격되는 중요한 흐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성평등의 관점과 성평등인식이 적용되는 영역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을 공적 영역(기회, 정책, 사회구조)과 사적 영역(성희롱)으로 구분하고, 기회의 평등(기회)과 조건과 결과 등의 불평등을 고려한 평등(정책, 사회구조)으로 구분하여, 지배적 남성성 규범과 능력주의가 성평등인식의 각 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은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공적 영역이지만 기회의 평등에 비해 구조적 불평등과 관련한 사회구조, 정책의 인식은 낮았으며, 사적 영역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배적 남성성 규범에 동의할수록 기회, 성희롱, 사회구조 영역의 인식은 낮게 나타났으나 정책 영역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능력주의에 동의할수록 기회와 성희롱 영역의 인식은 높게 나타났지만 정책과 사회구조 영역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기회, 정책, 성희롱 영역에서 남성성 규범 동의 정도와 능력주의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강한 능력주의는 남성성 규범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능력주의가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에서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고자 하는 논의에는 효과적이나 구조적 불평등을 교정하려는 시도에 저항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지배적 남성성 규범과 결합하여 20대 남성의 성평등인식을 특징짓고 있음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egalitarianism among Korea men in their twenties. Growth of young men who advocate conservatism and male backlash is considered prominent issue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dominant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on gender egalitarianism, this study classified gender egalitarianism into public (opportunity, policy, social structure)/private domain(sexual harassment) and equality of opportunity(opportunity)/strong gender egalitarianism (policy, social structure)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and perspective of equality. Results showed different effects of dominant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on different domains. Stronger conformity of the dominant masculine norms was associated with lower gender egalitarianism in opportunity, sexual harassment, and social structure but with higher gender egalitarianism in policy. One’s agreement with meritocr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gender egalitarianism in opportunity and sexual harassment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gender egalitarianism in policy and social structure. Furthermore, results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of the dominant masculine norms and meritocracy in which a strong agreement with meritocracy was found to reduce the effect of the dominant masculine norms in opportunity, policy, and sexual harassment. Together, results suggest that meritocracy is a positive factor to explain the equal opportunity of gender egalitarianism but acts as a mechanism to resist attempts to correct structural inequality. This indicates that meritocracy can work with or replace dominant masculine norms in characterizing the angry 20s’ gender egalitarian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