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경제적 영향력 분석 kci등재

The Economic Effect Analysis of the Oil Industry in Korea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석유산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피기 위하여 1970년, 1975년, 1980 년, 1985년, 1990년, 1995년, 2000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석유 관련 산업들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도출하였다. 대상부문은 원유, 천연가스, 석유화학기초제품, 석유제품, 나프타, 연료유, 기타석유제품, 기초유기화학물질, 유기기초화학제품, 유기화학중간제품, 기타유기화학기초제품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석유산업 및 석유제품산업들의 감응도계수는 영향력계수보다 크다. 기술 발전과 생산공정의 변화로 석유제품의 역할이 대체되면서 석유제품산업의 감응도계수가 달라지고 있다. 이는 경제 체제 내에서 석유 관련산업의 모습과 역할들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analysis, forward linkage index and backward linkage index were derived from the Input-Output Statistics from 1970 to 2015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the oil industry. The target sectors were crude oil, natural gas, basic petrochemical products, petroleum products, naphtha, fuel oil, other petroleum products, basic organic chemicals, basic organic chemical products, intermediate organic chemical products, and other basic organic chemical produ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backward linkage index were greater than the forward linage index. The backward linkage index of petrochemical product industries has changed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mprovement in production process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and role of the oil industry in the improvement system have chang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