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령기 교육 분야에서의 메타버스 중재 연구 동향 분석

Review of Intervention Studies using Metaverse in Educ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교육적으로 활용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2년 5월까지 출판된 학령기 학생 대상의 메타버스 활용 실험연구 총 32편(국내 13편, 국외 1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연구는 2013년 이후 꾸준히 진행되어오고 있으며 2020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이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국내는 초등학생, 국외는 중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는 통합교과와 미술에서, 국외는 과학, 언어·문학, 교과 외 영역에서 많은 중재 연구가 이루어졌다. 넷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중재 특성을 분석한 결과, 메타버스 안과 밖에서 다양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졌으며 교수자 역할로 안내와 보조 역할이 두드러졌다. 다섯째, 메타버스 활용 중재 성과를 인지, 심리·정서, 행동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외 모두 인지 영역을 가장 많은 비중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that used metaverse educationally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al use. Total of 32 experimental studies(13 Korean and 19 international) on the use of metaverse for school-aged students published from 2010 to May 2022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research has been steadily conducted since 2013 and has increased since 2020. Second, In terms of participa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in Korea, middle school students abroad. Third, in relation to the subject,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in integrated curriculum, arts in Korea, and science, language and literature abroad. Fourth, in the intervention using metavers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inside and outside the metaverse, and the role of guidance and assistance was prominent role of the instructor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ention performance using metaverse, the cognitive area was measured as the largest proportion in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