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앱 활용 교육 연구 분석

Using Mobile Apps in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앱 활용 교육을 실행한 선행 연구의 개괄적인 특징과 구체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연구와 실제를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기준에 따라 선정하여 총 29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개괄적인 분석 결과, 성인 발달장애인의 연구참여 연령은 매우 제한적이었고, 학교 및 지역사회 내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된 연구가 많았으며, 중재 목표로 고용기술 향상에 초점을 둔 연구가 과반수를 차지했다.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분석 결과, 생산성 유형과 촬영 및 앨범 유형의 앱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과반수의 연구가 상용화된 앱을 사용하고 앱 내에서 비디오와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또 앱과 사용자가 쌍방향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취한 연구가 많았으며, 중재전략으로 촉진과 모델링이 많이 활용되었고 연구참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교육을 제공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논의점이 제시되었다: (1) 실제적인 생활환경 안에서의 전반적인 전환영역에 대한 지원 및 일반화에 초점을 둔 중재전략 고려, (2) 발달장애인 사용자를 고려한 다채로운 앱 활용, (3) 앱 내 다양한 데이터와 상호작용 제공 및 (4) 다양한 연령대의 연구참여자를 고려한 교육 요구.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contents of the studies that implemented mobile app utilization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Total of 29 studies domestic and abroad were selected by specific criterion and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ag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limited, that research was mainly carried out based in educational institution inside a school or community, and that over half of the studies were focusing on improving job skills as an intervention goal. The specific analysis results on the app utilization education were that apps categorized for productivity and camera/album were mainly used, that over half of the studies used commercialized apps, and that the data most used in the app was video and text. Also, many studies took the mode in which the app and user interacts in double-way and used prompts and modeling as an intervention strategy. Research was limited in having research participants perform independently. From the analysis above, several discussion points were made: (1) consideration on supports throughout the transition domains within the practical life-based environ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ed on generalization, (2) use of variety of apps considering the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 provision of various data and interactions in app, (4) provision of education considering the wide spectrum of age of research participa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