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생의 과목선택권과 교육과정 서열화: 고교학점제하 두 학생 이야기

Student Choice and Curriculum Inequality: Stories of Two Students

초록/요약

2023년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적용을 앞두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확대하여 그들의 진로, 적성, 흥미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학생 선택권의 확대가 오히려 학생들 간의 학습격차를 확대하고 교육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다른 두 학생의 과목선택 경험을 심층 탐구하였다.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두 학생이 각각 어떤 과목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조사하였고 학생들의 과목선택 경험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계층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 간에 과목 선택에 있어 큰 차이가 나타났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은 교육과정의 수직적 서열화를 가져왔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확대하는 정책적 노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제안하였다. 특히, 선택지를 늘리는 것보다 선택을 잘 할 수 있도록 지도 지원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has led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as a result, failed to meet students’ diverse learning need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initiat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gives students more curricular choice. However, many educators have raised concerns over this new policy arguing that students’ curricular choice would deepen educational ine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s of different socioeconomic backgrounds made their curricular choic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udent from a high socioeconomic background strategically chose the courses crucial for college entrance exams with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rivate tutors. In contrast, the student from a low socioeconomic background chose the lower level and less academically oriented courses with little guid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curricular choice leads to curriculum tracking which exacerbates educational inequality. Based on the findings, the issue of student choice and curriculum inequality was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