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내 성인 대상 사회정서역량 척도 타당화

Validation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Scale for Adults in South Korea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척도를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척도로 사용함으로써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학습 척도 타당화를 하고, 이에 관한 연구에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 5개와 이전에 개발된 척도들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사회정서역량 관련 연구에서 다수 사용된 척도(고국영 외, 2016)와 최근 개발 및 타당화를 거친 척도(백예은·박지연, 2020)에서 국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 하위요인 5개, 총 25개의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의 설문지는 국내 성인 359명이 온라인으로 응답하였으며 이 중 총 350개의 수집된 자료를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에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중 공통요인분석을 한 결과, 초기 추출한 문항들 중 요인부하량이 낮고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하위요인을 측정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별된 2개의 문항을 삭제하여 총 8개 하위요인과 총 23문항을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최종 척도로 결정하였다. 기존의 초등학생 사회정서역량 척도의 요인구조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정서역량의 요인구조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같은 문항이라도 나이에 따라 노출된 삶의 환경과 다루어야 할 일상의 과업 등이 다르므로 문항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반복함으로써 국내 성인의 사회정서역량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국내 사회 및 문화가 가진 특성들을 고려한 척도의 확립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scale for Korean adul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by using the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nd provide the foundation of the study for the developing the scale for Korean adul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We reviewed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abou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nd 5 sub-competences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were defin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We adopted a total of 25 items, 5 items per a sub-competence from two previous studies(Ko Kuk Young, 2016; Baek Ye Eun·Park Jiyeon, 2020) in South Korea. The survey on a 5 Likert scale was distributed to 359 Korean adults via online. Of the collected data, 350 Korean adults’ responses were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he result of Common Factor Analysis verified that the 8 sub-competences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23 items were appropriate in measuring Korean adul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eliminating two items that had factor loadings below .4. The scale struc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was different from the Korean adult’ scale structure. The reason is that there is an obvious difference in circumstances of lives and developmental tasks between elementary students and adults and the difference makes different interpretation of same items. Therefore, the scale for Korean adul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has to be established through continuing these factor analysis studies, considered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at adults experi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