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농어촌지역 초등학교 활성화를 위한 교육공간 차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al Space to Revitalize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초록/요약

우리나라의 농어촌 학교는 학령인구감소와 지방소멸에 의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농어촌 학교를 살리기 위해 여러 정책과 혁신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적 지원은 부족한실정이다. 농어촌 학교가 중요한 이유는 도시에서 경험할 수 없는 생태 체험과 지역 공동체와의 소통을 통한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지역의 생태교육과 교육공동체를 특성화하는 한편, 변화하는 교육과정을 수용할 수 있는 미래 학교로서의 농어촌 초등학교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농어촌 교육과정에 기반한 공간혁신 방향을 문헌 조사를 통해 네 가지로 종합하였고, 이는 각각 생태 체험 활동의 공간, 진로 및 방과 후 활동을 위한 공간, 지역 공동체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공간, 디지털 교육을 위한 공간이다. 사례연구를 통해 이러한 네 가지 방향성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 설계방안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일방향적인 기존의 교육공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교육공간을제시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교육의 특성과 구성주의 교육 원칙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구성주의교육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구성주의적 교육공간은, 영역 간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연결성, 가변적인 공간을 통한 유연성,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는 교육환경의 다양성, 학생 개인의 수준에 맞춘개별 맞춤형 학습에 대한 지원성, 다양한 자료원을 통한 자료 접근성,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적극적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상호작용성을 포함한다. 사례연구를 통해 이러한 공간특성 반영 여부의 현황을파악하였다. 농어촌 초등학교의 교육공간을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농어촌지역 초등학교 교육과정 핵심과제에 기반한 설계요소를 도입할 뿐 아니라, 구성주의적 교육공간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가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현시대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Rural schools in Korea are facing a crisis due to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local extinction. Various policies and innovation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to revitalize rural school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spatial support to accommodate them. The reason why rural schools are important is that ecological experience and education community, which can not be experienced in cities, are possible in rural area. This study intended to specialize the ecological education and educational community in rural areas, while proposing the design direction of future-rural elementary schools that can accommodate the changing curriculum of rural education. The needs for spatial innovation required by the rural curriculum were summarized in four directi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paces for ecological experiences, after-school activities, local community governance, and digital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a spacial design plan that can support these four directions was specified.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nt a new educational space away from the existing one-way educational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t education and preceding studies on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education were integrated into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t education space. Constructivist educational spaces include connectivity that afford active movement between areas, flexibility that support changeable and versatile spaces including flexible furnitures, diversity which stands for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induce diverse experiences, affordance for personalized learning at individual student levels, accessibility to data through various sources, and interaction among community members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Therefore,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educational space of rural elementary schools, not only design elements based on core task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rural area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ve educational space should be introduced, so that learners can learn creatively and self-directedly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social uncertain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