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실공간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Classroom Space Together with Children and a Teacher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lassroom space that children and a teacher created together based on the 'becoming' perspective of spa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 children in the 5-year-old class and a teacher of S Kindergarten. The study period was from March to May 2022. Data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 and class journal were collected,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general method of qualitative co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a teacher created the classroom space leaving traces of experience in the classroom space and educational journal. As the traces remained in the classroom for a long time, the space gradually became a multi-space where everyone can participate and various experiences coexist, and the children changed and expanded the classroom space by adding experience to the space. Second, ‘becoming’ through constant experim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environment, children-children, and children-teacher and experience of difference in relationship acted as a force to change and create the classroom space. This study showed practical cases of a teacher and children creating the classroom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becoming'. Thu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eachers in the field with practical practice plans and various perspectives on space that are emphasiz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공간에 대한 ‘생성’ 관점에 근거하여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실공간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유치원 만 5세 학급 담임교사와 유아 26명이었고, 연구기간은 2022년 3월부터 5월까지였다. 참여관찰, 면담, 학급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코딩의 일반적 방법을 기반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는 교실공간에, 교사는 기록으로 경험의 흔적을 남기며 교실공간을 만들어나갔다. 그 흔적이 오랜 기간 교실에 남아있게 되면서 그 공간은 점차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우리의 공간, 다양한 경험이 공존하는 다중적 공간이 되어갔고, 유아들은 그 공간에 경험을 더하며 교실공간을 변화시키고 확장해 나갔다. 둘째, 유아-환경, 유아-유아, 유아-교사의 관계맺음 속에서 끊임없는 실험과 관계 속 차이 경험, 이해를 통한 다르게 ‘되기’는 교실공간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만들어가는 힘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가 함께 교실공간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한 실제적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현장의 교사에게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만들어가는 공간에 대한 실천 방안과 공간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