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직업계 고등학교의 노동인권교육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성공적인 직업생활,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Text-Mining Analysis of Labor-Rights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Focused on ‘Successful Career Life’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초록/요약

This study used textbook analysis to explore labor-rights education that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encounter in school. We investigated textbooks organized as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specialized textbooks on 'Successful Career Life', which have content and practical suitability for labor-rights education. We used text mining to analyze if and to what extent contents related to labor rights are addressed, what content elements are centered on, and what educational goals are aimed at.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knowledge transfer is still carried out at a high rate in textbooks, and narrowly structured labor-rights education centered on law and economy was noticeable in particular. Second, there is still a distinction in the use of terms between 노동 and 근로, and in the case of ‘Successful Career Life’, which is a subject only for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its description is centered on 근로 and 근로자. Finally, the contents related to field training, which have been a core issue of vocational-school students’ infringement of labor rights, were largely limit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직업계 고등학생이 학교 교육에서 접하는 노동인권교육을 탐구하여 직업계 고등학교의 노동인권교육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 노동인권교육과 내용적·실천적 보편성과 적합성을 가진 공통과목‘성공적인 직업생활’과‘통합사회’를대상으로, 해당 교과의 교과서에서 노동인권 관련 서술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떤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지, 어떤 교육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지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 노동인권교육은 내용 지식 전달이 여전히 높은 비율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법 지식 중심의 협의의 노동인권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노동과 근로의 용어 사용에 여전히 구분이 있고,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경우 근로, 근로자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업계 고등학생의 노동인권 침해의 실질적 문제가 되는 현장실습과 관련한 내용은 미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