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놀잇감에 대한 영아학급 보육교사의 인식 및 제공 현황

Teachers’ perception and provision of toys in infant clas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영아학급을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놀잇감 인식 및 제공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세 학급, 2세 학급, 1‧2세 혼합 학급의 담임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설문지를 통해 알아본 놀잇감에 대한 인식 및 제공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놀잇감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는데, 놀잇감이 영아의 놀이 및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에게 적절한 놀잇감의 특징 및 제공 방식에 대해서도 대체로 잘 알고 있었다. 또한 표준보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놀잇감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항시 제공하는 놀잇감도 있었지만, 교육적 가치가 있음에도 전혀 제공하지 않는 놀잇감도 있었다. 놀잇감을 제공할 때는 교육적인 의도를 가지고 영아의 놀이와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였으나, 영아 안전의 이유로 놀잇감의 사용 방법과 사용 공간을 제한하기도 하였다. 놀잇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높은 반면 놀잇감 제공 시 개선점이 발견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식과 제공 현황 간의 격차를 줄이는 지원이필요함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ovision of toys in infant class. For this purpose, 231 homeroom teachers of 1-year-old, 2-year-old, and 1-and 2-year-old infant classe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ovision of toys ident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crea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 class teachers generally showed a high perception of toys, were highly aware of the positive effects of toys on infants’ play and development, and were generally well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oys appropriate to infants and the proper provision. In addition, many teachers were found to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oys due to the revision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Second, as for the provision of toys, while some toys were always provided by infant class teachers, other toys were not provided at all despite their educational value. When providing toys, the teachers were reported to support infants’ play and development with educational intentions and limit the methods and space for using toys for safety reasons. Based on the findings of infant class teachers’ high perception of toys yet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providing toys, this study suggests that support is need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provi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