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세먼지 관련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연구: 서울 지역과 충남 지역의 비교분석

A Study of Influencing Variables on Knowledge about Particulate Matter: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the Chungnam Region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관련 지식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TPB)과 위험의 정보탐색·처리(RISP) 모델 등에서 사용한 변수들을 참고하여 관련 변수를 추론하고, 인구통계학적 요인, 인지적 요인, 감정적 요인, 미디어 요인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요인들의 미세먼지 관련 지식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설명력을 서울 지역과 충남 지역 간에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요인이 미세먼지 관련 지식과 어느 정도 관련은 되어 있지만 미디어이용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미세먼지 관련 지식의 수준은 높았다. 인지적 변인(태도, 주관적 규범, 효능감)의 경우, 태도, 주관적 규범, 효능감이 각각 미세먼지 관련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감정적 변인의 경우, ‘외향적 부정 감정(불안·분노·공포)’이 증가할수록, ‘내향적 부정 감정(죄책감·슬픔)’이 감소할수록 미세먼지 관련 지식수준은 높았다. 미디어 변인의 경우, 미디어이용 요인 중 ‘방송미디어’, ‘인쇄미디어’, ‘대인미디어’ 이용시간이 감소할수록, 미디어 이용동기 중 ‘사실 확인’ 동기가 높아질수록, ‘자기고양’ 동기가 낮아질수록, 미세먼지 관련 지식수준은 높았다. 한편, 이를 서울 지역과 충남 지역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사실 확인’ 동기가 높을수록, 충남 지역은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방송미디어’ 이용시간이 적을수록 미세먼지 관련 지식이 높았다. 이를 토대로 위험 소통 측면에서 우리나라 미세먼지 관련 지식 제고와 관련해 정책적·실무적 제안 사항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knowledge about particulate matter(PM). The study us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s of study variables affecting knowledge about PM. The influencing variables were narrowed down to cognitive factors, emotional factors, and media factors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discussions includ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Also, the study compared the outcomes between Seoul and the Chungnam region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factors were related to knowledge about PM to some extent and media usage factors indicated the highest impact among all the factor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ge, education, and male versus female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M. Cognitive fact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ext of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but individual cognitive variab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s. In terms of emotional factors, the higher the level of outward negative emotions, the greater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M. Also in cases of media usage factors, the amount of usage in broadcast media, print media, and interpersonal media decrease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M. Also, the self-enhancement motivation for media usage decrease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M, but the fact-checking motivation for media usage increased it. Finally, in the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the Chungnam region, education and the fact-checking motivation for media usage were positively influencing variables on knowledge about PM in Seoul. However, age, education, and the amount of broadcast media usage influenced positively on knowledge about PM in the Chungnam reg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ramifications in the context of risk communication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increasing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PM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