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의 협력적 상호작용에 대한 민속방법론적 대화분석학 연구 - 수업 맥락화하기를 중심으로 -

An Ethnomethodological Conversation Analytic Study on Multimodal Collaborative Interaction in Videoconferencing KFL Classroom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실제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 수업 참여자들이 가상 교실 상호작용을 협동적으로 이루어나가는 양상과 수업 상황 맥락에서 상호 이 해에 도달하는 방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19 감염 대유행으로 시행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는 대부분 비대면 수업에서의 상호작 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으나, 실제 비대면 수업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 어지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다루어 온 민속방법론적 대화분석학의 연구 관점을 적용하여 가상 교실에서 수업을 시작하고 끝내고, 시각적 인식을 동기화하는 수업 맥락화를 위 한 말 구성 교체 조직과 연속체를 중심으로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4차 산업혁명 디지털 대전환기와 코로나19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 하여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비대면 한국어 교육 분야의 노력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plores multimodal interaction in videoconferenc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classes to illustrate how collaborative KFL instructors and students organize virtual classroom interactions and how participants make sense of each other in situ. Multimodal ethnomethodological conversation analysis [EMCA] research has revealed naturally occurring social interaction in various multiparty conversation settings. Adopting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the EMCA perspective this article contributes to classroom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multimodal interactions based on a corpus of audio and video recorded virtual classes,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Analyses examines participants’ contextualization methods focusing on opening, closing, and visually synchronizing the virtual classe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of virtual KFL classe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