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놀이기록 구성과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A study on teachers' composing and utilizing play documentation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eachers’ experience in composing and utilizing play documentation. As study participants, five teachers who had been running play documentation for more than 5 years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play documentation were conducted. When composing play documentation, teachers managed time and format flexibly, involved children as the subject of play documentation, constructed the play documentation according to children’s perspectives, and organized play documentation in various formats according to the purpose. At the same time, teachers utilized play documentation to expand children’s interests, adjust play spaces, support play systematically, review children’s learning, and reconstruct the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ed that play documentation is not just a list of children's play, but a circular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play. Also, it was able to explore various ways of teachers’ composing and utilizing play document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ward broadening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learning,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capturing and expanding children’s learning through play documentation.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사가 놀이기록을 구성하고 활용하는 경험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놀이기록을 실행한지 5년 이상 된 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참여자와 면담을 하고 참여관찰을 하며 놀이기록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놀이기록을 위한 시간과 형식 유동적으로 관리하기, 놀이기록의 주체로 유아 참여시키기, 유아의 관점을 따라 놀이를 기록화하기, 활용목적에 따라 자료 조직하기로 놀이를 기록화하였다. 동시에 유아의 관심 확장시키기, 놀이공간 조정하기, 체계적으로 놀이지원하기, 유아의배움 돌아보기, 학급 교육과정의 모티브로 사용하기로 놀이기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놀이기록이 놀이를 나열한 자료가 아닌 놀이를 파악하고 지원하는 순환과정임을 제시하면서, 현장의 교사들이 놀이기록을 어떻게 구성하고 활용하는지 다양한 방법을 탐색해볼 수 있었다. 더불어 놀이기록에서 유아의 배움을 포착하고 확장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배움에대한 시야를 넓힐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