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시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직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after Re-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초록/요약

오늘날 우리 사회가 초저출산 및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고 있음에 따라 이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의 특성 또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재취업 이후의 상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또는 일 만족에 있어 직업교육훈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몇몇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직업교육훈련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서울시 여성능력개발원의 연구용역 의뢰로 실시한 ‘서울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만족도 및 요인조사 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여,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에 성공한 이후 이들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재취업 전 직업교육훈련 경험이 재취업 이후 일 만족도에 어떤 조절효과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의 가사 및 가족돌봄, 과거 일과 현재 일자리의 밀접도, 그리고 개인의 월평균 소득은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 시 느끼는 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교육훈련 경험은 경력단절여성이 일에 대한 만족도에 조절 효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ore

초록/요약

Affected by low birthrate and rapid aging speed of Korea, retention of workforce has been a serious social concer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re-employ career-interrupted women and how to keep them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at the national level. Although numerous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career-interrupted women's re-employment, retention of their job after re-employment has been rarely explored. To fill this gap, this study attempt to investigate job satisfaction of re-employed women who had previous career breaks because job satisfaction is critical for their continuous job retention. The factors influecning job satisfaction of re-employed women were pursued considering moderating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at they received during job search process.‘Re-employment Satisfaction and Factors Survey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 Seoul (2019)' condu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spouse's domestic labor and family care,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st and the current job, and individual's average monthly incom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er-interrupted women after re-employment. Howeve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fter re-employ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