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세국어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과 그 흔적—함북 육진 방언을 중심으로—

The Loss of Stem-final Sound of Declensional Stems Ending in “h” in Middle Korean and Their Traces—Focusing on the Yukjin Dialect in North Hamgyeong Province

초록/요약

This paper describe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traces of “h” remain in synchrony even after the loss of stem-final sound of declensional stems ending in “h” in Middle Korean, and explains the phonological idiosyncrasies due to the existence of such traces based on utterance-based theory and exemplar- based model. In the written documents since the 19th century and the Yukjin dialect in North Hamgyeong Province since the 20th century, there are examples of the maintenance of the older declension pattern even after the loss of stem-final sound of declensional stems ending in “h”. This synchronic exception is due to the existence of traces of stem-final sound “h”. From the perspective of utterance-based theory and exemplar-based model, these traces are likely to exist because past uttered forms are stored in speakers' Lexicons.

more

초록/요약

본고는 중세국어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 후 그 흔적이 공시태 내에 잔존하는 현상에 대하여 기술하고, 그러한 흔적의 존재에 따른 음운론적 특이성을 발화 기반 이론 및 용례 기반 모형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19세기 이후 문헌 자료와 20세기 이후 함북 육진 방언 자료에는, ‘ㅎ 말음 체언’의 말음 소실 후에도 이전의 곡용 패턴을 유지하고 있는 예들이 존재한다. 이 같은 공시적 예외는 말음 ㅎ의 흔적(ø)이 잔존하는 데 기인한다. 발화 기반 이론 및 용례 기반 모형의 관점에서, 이러한 흔적의 잔존은 이전 시기의 발화형이 화자들의 어휘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