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불안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고통감내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학생 3학년, 4학년과 취업을 준비 중인 졸업 유예생 3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사회불안, 고통감내력, 경험회피, 취업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를 매개로 하는 이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회불안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의 단순매개와 이중매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이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라는 심리적 기제를 매개하여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보다 잘 관리하기 위해 고통감내력과 경험회피의 심리적 개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demographic questions and measures to measure social anxiety, distress tolerance, experiential avoidance, and job-seeking stress with 300 college juniors, seniors, and graduates seeking employment.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models, and the fit of the models was deemed to be goo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each acted as a mediator between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among study participants. Second,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togethe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These results present new perspectives concerning the role that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play between social anxiety and job-seeking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suggesting that interventions to increase distress tolerance and to overcome experiential avoidance could be helpful for college students dealing with job-seeking stre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