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통합유치원에서 실행한 다운증후군 유아AAC 지원 사례

A Case Study of AAC Support for a Young Child with Down Syndrome in Inclusive Kindergarten

초록/요약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다운증후군 유아를 대상으로AAC 중재를 실시한 사례를 통해 AAC가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 도구 및 상징을선정하고 지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유아의 놀이 및 일과 참여를 지원하기 위하여 활동별로 KAAC 상징을 사용한 의사소통판과 그림카드를 제작하고 통합학급 교실에 비치하였다. 중재 이전 대화상대자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중재를 실시하면서 AAC의 도구 및어휘를 4차례 수정하였다. 유아가 AAC로 의사를 표현할 때 구어 피드백과 함께 그 결과를 즉각적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첫째, 유아의 의사가 상대에게명확하게 전달되었다. 둘째, 유아의 의사표현이 정교화되었다. 셋째, 다양한 주제의 어휘를 사용하게 되었다. 넷째, 자발화가 증가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첫째, 전반적인 또래와의 상호작용 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또래와 유아간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셋째, 유아가 일과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문제행동의 측면에서 지원하는 성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나 관심 얻기 기능의 문제행동이 소폭 감소하였다. 결론: 통합유치원의 다운증후군 유아 대상 연구라는 점, 장애 유아의 주변 환경까지 지원하였다는 점, AAC를 지속적으로 수정하며 적용하였다는 점, 활동 중심 삽입교수로AAC 사용을 교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on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and challenging behavior for a 5-year-old with Down Syndrome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Method: Based on the assessmen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eam selected tools and symbols and established support plans. To support play and daily participation of the child, communication boards and picture cards using KAAC symbols were placed in the classroom for each activity. Prior to intervention, communication-partner training was conducted and AAC tools and vocabulary were modified four times during the intervention. When the child expressed his intention via AAC, his communication partner responded immediately with verbal feedback. Results: In terms of communication, first, the child's intention was clearly conveyed to the partner. Second, expressions of intention were elaborated. Third, vocabulary on various topics was used. Fourth, spontaneous speech was increased.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 first, the overall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 was increased. Second, direct interaction among peers and the child was increased. Third, the child actively participated in daily routines. In terms of challenging behavior, although it was different depending on an adult supporting him, the attention-seeking challenging behavior was slightly decreas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own Syndrome in inclusive kindergarten that is modified continuously and implemented through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