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수학과 사회, 과학 교과서의 그래프 활동 및 이해 수준 분석

A Study on Graph-based Activity and Understanding Level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수학과 사회,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 과제를 그래프 활동과 그래프 이해 수준의 측면으로 나누어비교·분석하고, 향후 eNAEA에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프 활동을 분석한결과, 사회와 과학과에서는 ‘그래프 해석’과 ‘그래프 추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에 수학과에서는 ‘그래프 구성’과 ‘그래프 해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그래프 이해 수준을 분석한 결과, 사회와 과학과에서는 ‘그래프의 안쪽 이해하기’와 ‘그래프를 초월하여 이해하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에 수학과에서는 ‘그래프 밖 이해하기’와 ‘그래프의 안쪽 이해하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 교과서에서 사회와 과학의 맥락에서 그래프 도입과 향후 컴퓨터기반 평가를 위한 그래프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graph tasks presented in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by dividing them into graph-based activities and graph understanding level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to eNAEA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graph-based activities,‘graph interpretation’ and ‘graph reasoning’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in social studies and science, whereas ‘graph construction’ and ‘graph interpretation’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in mathematic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graph understanding levels,‘understanding the inside the graph’ and ‘understanding above and beyond the graph’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in social studies and science, whereas ‘understanding the outside the graph’ and ‘understanding the inside the graph’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in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research when introducing graphs in the context of social-studies and science in mathematics textbooks and developing graphrelated teaching & lerning materials for future computer-based assess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