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양필수글쓰기 교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 연구 –가짜뉴스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Essential Writing Subject Focusing on Fake News

초록/요약

이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양필수글쓰기 교과목에서 진행한 가짜뉴스 교수 학습모델을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방법을 탐색하였다. 대학생들은 인터넷 포털과 SNS 그리고 대학생 커뮤니티 사이트(에브리타임과 페이스북 대나무숲 계정 등)에서 뉴스를 접한다. 해당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뉴스 중에는 가짜뉴스도 있다. 이 연구는 가짜뉴스로 인한 오정보 전달로 인한 피해뿐 아니라, 가짜뉴스가 타인에 대한 혐오를 기른다는 점에서 이를 교차점검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리빙스턴의 논의를 참고하여 가짜뉴스 접근, 분석, 판단, 생성과정을 거쳐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하였다. 더 나아가 가짜뉴스 이론을 학습하고 학습자들이 자주 접하는 온라인 게시물들을 검토함으로써 해당 게시물들이 가짜뉴스와 유사한 패턴을 갖추었음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가짜뉴스 교수학습모델을 개발하고 실행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지만 생성 단계의 분석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뉴스의 윤리적 소비 및 전달 태도에 대한 논의를 학습모델에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은 추후 연구로 보완하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plored a media literacy education method through a focus on a fake new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pplied in the liberal arts essential writing subject of Ewha Womans University. Students typically receive news via Internet portals, SNS, and community sites for college students, such as the “Everytime” and Facebook Bamboo Forest accounts. Fake news is often encountered on these platforms, and I felt the need to cross-check fake news because it fosters hatred for others and causes damage by delivering misinformation. In this study, literacy education was conducted by accessing, analyzing, judging, and generating fake news based on the schema of Livingston.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theory of fake news and reviewing online posts frequently encountered by learners, it was found that many posts showed a pattern similar to fake new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actual fake new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ut the analysis of the generation stage needs to be enhanced.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reflect the discussion of the ethical consumption and delivery attitude of news in the learning model. These limitations will be supplemented by future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