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드라마의 국가간 색채 비교 : 민코프스키(Minkowski) 거리로 보는 한일 리메이크 드라마의 채도(S)와 명도(V) 차이

Comparison of Color Property in Korean and Japanese TV Dramas : Difference in Saturation and Lightness between the Original and Remake Dramas Measured by Minkowski Dista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의 소구력 요소 중 하나로 색채에 주목하여 한국 드라마 영상 특징을 원작과 리메이크 드라마에 대한 색채 비교에서 찾으려고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에서 각기 제작된 원작 및 리메이크 드라마 3쌍, 즉 6편의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원작과 리메이크 드라마를 비교함으로써 장르와 스토리 라인의 차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색채 차이를 최대한 통제하고, 동일 내용을 제작할 때 나타나는 실질적인 색채 차이를 규명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편을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인 특징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문화적 혼종 현상으로서 글로컬라이제이션이 일어나는 방식을 드라마의 색채 감성, 그 중에서도 명도와 채도 대비로 표현되는 표현의 문제로 보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측정 방식으로는 화면의 색상을 주조색 3개로 구분하고 가장 명도와 채도 차이가 큰 주조색간 차이를 맨하탄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로 측정하였다. 이 두 개의 거리는 일반화된 공식으로 민코프스키거리라 불린다. 분석 결과는 한국 드라마가 일본 드라마보다 채도 대비가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일본 드라마는 채도 대비가 높지 않았다. 이는 한국 드라마가 원작 드라마인지 리메이크 드라마인지 등의 원작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이론적으로 보면 이러한 차이는 자연 환경에 의해 색채 선호가 영향을 받는다는 생태적 유의성 이론(ecological valence theory)의 내용을 뒷받침하는데, 미디어 연구로 한정하면, 이 결과는 영상 콘텐츠의 표적 수용자층에 맞는 영상 제작 방식이 더욱 더 높은 소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영상 드라마 분석에 디지털 영상 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색채를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디지털 영상 분석 방법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dramas by comparing the color of the original and remake drama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lorful costumes and visuals in Korean drama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so-called Korean Wave's appeal in Asia and other countries. However, without any reference to dramas in other countries, it is hard to evidence that the color plays an important role to appeal 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 distribution, the issue of color in remake video content can be seen as a way of looking at the cultural hydridization of cultural content, which has been developed among theories related to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culture, such as cultural proximity, cultural discount, and cultural odorless theory. Six dramas, three pairs of original and remake dramas produced in Korea and Japan, were selected to compare their colors. The rationale of comparing Korean and Japanese dramas lies in the fact that both countries have a long tradition of remaking each other's dramas. Moreover, by comparing of the original and remake dramas, it was intended to control the color differences as much as possible due to differences in genre and plot and solely to focus on the actual color differences when the same content is produced. Full episodes of these drama were analyzed to identify systematic featur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ramas. It is expected that cultural hybridization as the glocalization process would be observed via the contrast between brightness and saturation. The contrast is measured by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primary colors in brightness and saturation. Manhattan and Euclidean distance were used to calculate the differences. The generalized formulas of these distances are known as Minkowski distance.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Korean dramas have a more significant saturation contrast than Japanese dramas. This result had nothing to do with the origin of the original drama, such as whether or not the Korean drama was a original or remake dramas. The study results support the ecological valence theory that states color preferences are influenc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More importantly,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saturation tends to be systematic across different genres of dramas. In the context of media communication discipline, this finding suggests that video production techniques tailored to the target audience have a greater impact on color usage, represented by the color satur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potential standardization of color measurement and comparison through the use of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its contribution to the future methodology of digital image analysi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