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해외 국가들의 공식 교육과정에 담긴 세계시민교육 담론 및 이념적 접근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A scoping study of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deologies and discourses in official curricula and textbooks

초록/요약

본 연구는 Pashby et al.(2020)의 세계시민교육 이데올로기 유형화를 이론적 틀로 적용하고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지난 15여 년간 해외 26개 국가들의 공식 교육과정에 담긴 세계시민교육 담론 및 이념적 접근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계 다수 지역·국가의 공식 교육과정은 명목상 세계시민교육을 지향하는 가운데, 보편적 수용성과 비논쟁성, 개인의 도덕성에 치중하는 자유주의 담론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 경제에 필요한 노동 생산성 및 경쟁력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관점은 세계화를 주도하는 서구 선진국 및 과거 피식민지배 이후 경제 성장을 통한 국가 재건과 번영을 이룩한 아시아 국가들에서 두드러졌다. 신보수주의는 독일, 일본 등 20세기 제국주의 국가 및 이스라엘, 터키 등 민족·종교 분쟁이 현재진행형인 국가들에서 가시적으로 관찰되었는데, 국제 사회 속 민족국가의 정치·경제적 입지와 동질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강조되었다. 그동안 소외되었던 비판주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 일부 국가들의 사례도 확인되었다. 후기비판주의는 침묵화 양상을 보였다. 종합해보면, 공식 교육과정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은 시민권 담론을 형성하는 국가와 지역의 역사·사회·정치적 산물로서, 20세기 세계화의 복합적 양상 및 연관성 속에서 해석·평가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는 세계시민교육을 둘러싼 이데올로기 및 맥락성에 대한 연구 지평을 확장하고, 다양한 대안적 논의와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공헌한다.

more

초록/요약

Utilizing scoping study and Pashby et al (2020)’s typolog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international empirical literature on GCE discourses in official curricula.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urricula and textbooks in various nations around the world were largely dominated by liberalism that employs soft GCE emphasizing universality, non-controversy, and individual’s sense of morality and ethics.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which emphasizes labor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necessary for a global market economy, was prominent in Western countries leading the globalization charge and some selected Asian countries that achieved economic growth due to globalization. Neoconservatism which was often integrated with the above two ideologies, tended to justify nationalist, imperialist, and colonialist views in GCE. Despite some limitations, meaningful potential for promoting a critical GCE, which had previously been silenced in official curricula, was hinted at. Postcritical discourse was not observed, yet positively imagined and supported by researchers as an alternative way to contextualize GCE. The findings imply that GCE in the official curricula is predominantly shaped by the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of its nation, and that it needs to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such complex circumstances for its more nuanced understanding.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research on the ideologies and contextualities of GCE, and suggesting various alternative discussions and possibilities in practi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