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교 사회⋅예술 융합 수업 ‘핑크와 블루, 경계를 넘다’ 사례를 통한 사회과 창의교육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Pink and Blue, Crossing the Border’, arts integrated social studies creativity education lesson through a case of high school classroom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서울 S여자고등학교에 적용된 ‘핑크와 블루, 경계를 넘다’ 사회⋅예술 융합 창의교육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수업 실천 및 시도가 사회과교육에 시사하는 가능성과 의의를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계기반연구 방법을 도입한 본 연구는 수업 적용 및 평가의 과정에서 생성된 양적(사전⋅사후 설문조사)⋅질적(학생의 수업 결과물 및 소감문, 교사의 수업적용보고서) 자료를 수집하고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교과 인식 및 창의 역량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교과 인식 측면에서는 교과 가치와 교과 학습 자기효능감에서, 창의 역량에서는 확산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측면에서의 변화가 주요하였다. 수업 만족도 또한 높은 수준(평균 4.28/5점)이었는데,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수업에서 활용한 자료에 대한 만족도가 특히 높았다. 학생의 수업 소감문과 학습 결과물, 교사의 수업적용 보고서 등을 종합한 질적 분석의 결과, 성 고정관념에 대한 자아성찰 및 사회문제로의 인식 확장, 창의적 표현과 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의 경험, 의사소통 및 공유를 통한 공동체적 배움이 수업에서의 긍정적 경험 요소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교육적 수요에 따라 중등 사회과 수업에서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과 시도를 탐색하는데 유용한 학술적⋅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ink and Blue, Crossing the Border’, a social studies⋅arts convergent creative education lesson applied to S Girl’s high school in Seoul, and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such practices as a new attemp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researcher planned the lesson and following research process through Design-Based Research method, and collected a variety of data given mixed method research including quantitative(pre- and post-surveys) as well as qualitative(student reflections, artifacts, and teacher report) sources generated in the course of less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students' perception on social studies and creative competency improved to a significant level. In terms of students’ perception on the subject area, major changes were in subject value and subject learning self-efficacy, while in creative competency, improvements in divergent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were noteworth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lesson was also at a high level (average 4.26/5 poin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 and materials used in class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meantim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demonstrated the following as meaningful outcomes of the lesson: self-reflection on gender stereotypes and awareness expansion to social problems, experience of creative expression and new perspectives, and learning through interactions and sharing id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loring various possibilities and attempts for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secondary social studies education given new educational demands expected in future social changes.

more